생활개혁협의회



건전한 결혼중개 서비스

(1) 가족제도

베트남은 유교의 영향을 받아 가부장제를 특징으로 하여 여성의 지위가 낮으며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하여 전통적 가치와 현실주의가 새로운 균형을 잘 이루고 있으며 가족과 친척들 간에 대한 의무가 강하게 작용하는 측면을 보이고 있다. , 베트남은 효를 기본이념으로 삼고 가문의 명예를 중요시한다. 신앙심과 조상숭배와 종교, 가족을 중시하여 대부분 자신과 부부의 이익보다 가족 전체의 의사와 이익을 더 중요시한다.

베트남 사람들은 사회적 위계도 중시하며, 사회적 질서 유지에 기여하는 사람, 현명하고 정직한 사람과 연장자를 존중한다. 연장자나 윗사람에게 지나치게 공손하며, 자기 자신에 대하여 말 할 때에는 낮추어 말하고 남에 대해 말할 때에는 높여 말한다. 나이가 많으면 낯선 사람도 할아버지나 아저씨로 부르고 비슷한 나이면 형이라고 부르고 말수가 적을 것을 좋은 것으로 여긴다. 상대방과의 대화 시 얼굴을 정면으로 보지 않으며 의견이 충돌되면 자기감정을 조절하고 상대의 감정을 상하지 않도록 한다.

베트남은 지역에 따라 가족생활 및 가치관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의 역사적 상황과 지리적 위치 특성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베트남의 문화는 크게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구분되어 대조적인 특징을 가진다.

북베트남 가족의 특징은 직계가족을 기본으로 하는 확대가족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부계의 원리에 의해 권위는 부권적이며 부거제를 따른다. 장자 우대 상속 제도를 이상형으로 하면서 장자가 많은 몫을 분배받고 동시에 그가 조상의 제사권과 가계의 계승자가 되며 가 한 덩어리가 되는 가족집단을 형성한다.

남베트남은 사회적 지위 이동의 경직성이 강한 북베트남지역과 대조를 이루는 것으로 핵가족 형태의 개별가족이 하나의 독립된 사회단위로서 많은 토지이용의 자유를 누렸다. 집안의 상속은 막내자녀 상속의 원칙을 따르며, 장남부터 분할 분거가 시작되며 가족 내 모든 자녀들에게 재산상속은 균등하게 분배되며 제사도 장남에게 한정되어 있지 않고 형제간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지역별 베트남인의 특성>

준비하는 북부사람

- 역사적으로 북부지역은 중국과 접해 있으면서 늘 침략을 받아왔기 때문에 남진정책을 추진하여 북쪽 중국으로부터의 침략에 대비하면서 일정한 긴장감을 유지하였다.

억척스런 중부사람

- 열악한 자연환경으로 매년 가뭄과 홍수가 번갈아 찾아와 살기 어려운 지역이지만 무척 생활력이 강하며 중부의 대표지역인 응에안 성의 사람들을 나무 도시락 종족(먹을 것이 없어 나무로 물고기 모양을 만들어 밥을 먹을 때 쳐다보는 종족)”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낙천적인 남부사람

- 자연환경이 가장 풍족하여 동남아시아 최대 강인 메콩 강이 중국 티베트 고원에서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를 지나 베트남 남부에서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데 아홉 마리의 용이 서로 얽혀있는 형태라 하여 구룡강이라 불리면서 많은 지류를 형성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3모작을 할 수 있어 풍족하며 낙천적이고 소비성향도 강하다.
북부사람은 100을 벌어 50을 저축할 때, 남부사람은 100을 벌어 100을 다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2) 자녀양육 및 교육

베트남은 어린이의 보호 및 양육에 관해서 1960가정과 결혼법을 선포, 1986년 수정·보완하였고, 1991어린이 양육 및 보호법을 제정하여 어린이의 양육 및 학습에 관한 권리를 제시하였다.

주된 내용은 어린이의 보호는 가정에서 부모 혹은 보호자 책임의 중대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어머니는 자녀의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아버지는 규정, 질서, 용감성, 성역할 등을 가르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하였다. 부모와 자녀간의 애착을 중요시하였고 애착은 가정교육의 효과를 위해 가장 기본적 조건이 된다.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은 직장여성이 많기 때문에 유아원, 유치원 제도가 잘 되어 있으며 급식과 낮잠까지 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도 20%정도는 학교에서 급식을 해결하고 있다.

모든 교육과정은 남녀공학이며 교복을 착용하고 학생들을 체벌하지 않는다. 한국과 같이 고등학교 졸업 후 남자들은 2년 혹은 3년 의무병제를 실시하며 대학생이 되면 남녀 모두 실탄 사격 연습 등 훈련을 받게 된다.

베트남의 전통가족은 15세 자녀들을 가족의 생계를 위한 생산 활동에 참여하게 하였고, 1990년 초반까지는 무상교육도 실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유료교육제도와 사립학교도 설립되고 있다. 교육제도는 유치원 3년 과정(3-6), 초등교육은 5년제 의무교육이고, 중등교육은 전기 4년제, 후기 3년제로, 대학교 4-5년 과정으로 이루지고 있다. 최근에는 교육 분야 개혁을 추진 중이며 직업훈련이 강조되고 있다.

(1) 주거문화

베트남은 열대우기권의 기후특성에 의해 주택구조가 기본적으로 바람이 잘 통하고 시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천장은 높고 문이 넓어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마당이 없는 대신 옥상에 정원이나 휴게소 혹은 체육시설을 만들어 해가지면 가족과 친지들이 이곳에서 서늘한 밤을 즐기는 옥상문화가 있다.

 

베트남의 복식문화는 날씨의 변화 특히 더위와 습도를 기준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대표적인 의복으로 아오자이(Ao Dai)라는 전통의상과 야자나무 잎으로 만든 고깔 형태의 모자인 농라가 있다. 아오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 없이 아오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농라는 비가 올 때나 햇볕이 강할 때 우산과 양산 대용으로 사용되며 부채의 역할을 하는 다용도 모자이다.

베트남은 때와 장소에 따른 의복예절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종종 잠옷을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사람들로 외국인들이 당황케 하는 경우가 일어난다.

또한 베트남에서의 복식의 기준은 몸의 속살이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1990년 초반까지만 해도 외국인들이 베트남에 와서 짧은 치마나 바지를 입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베트남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의생활 문화차이로 인한 갈등 사례>

󰋯 장소에 따라 의복예절을 갖추는 경우 없어 결혼식에도 평상복을 입거나 화려한 아오자이 정도를 입는다.

 

 

 

 

 

(3) 음식문화

베트남은 식사 때에 가장은 밥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가장 좋은 음식 앞에 앉는 것이 질서를 지키는 것이 식사예절이다. 베트남의 음식은 양념소스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특히 스프의 종류가 다양하고 음식제조방식도 매우 특이하다. 대체적으로 음식의 맛은 달거나 맵거나 시거나 감칠맛이 나며 향채 풀로 인한 민트향과 바질향이 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인처럼 생선회 같은 날 것은 먹지 않으며 음식을 뜨거운 물에 푹 삶지 않고 대부분 살짝 데치거나 아예 야채를 생것으로 먹는다.

주식은 찰기는 없는 ’()이고 ’(쌀국수)를 즐기며 간장과 마늘, 고추를 즐겨 먹고 기름기 많은 음식에 좋은 끓인 물에 얼음을 넣은 짜다를 마신다. ‘’(chen)이라는 작은 간장 종지 같은 밥그릇에 젓가락을 이용하여 먹고 바게트 빵과 비슷한 반미를 아침식사 대용으로 즐긴다.

베트남에서 우리의 장, 초장과 비슷한 일종의 젓갈 발효음식인 늑윽맘’(NuocMam)은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며 독특한 냄새로 베트남 요리의 맛을 낸다. 쌀국수와 월남쌈, 볶은 쌀국수를 즐겨 먹는다.

 

 

 

 

 

<식생활 문화차이로 인한 갈등 사례>

󰋯 베트남은 음식에 간을 강하게 하는 편이라, 수박에 소금과 고추가루를 찍어먹고, 망고에는 간장과 설탕을 뿌려 먹어 한국가족이 놀란다.

󰋯 아침에 늦게 일어나고, 아침밥을 잘 먹지 않는다.

󰋯 소식으로 하루에 여러 번 먹고, 음식을 먹고 자기도 한다.

󰋯 , 미역은 처음 보는 음식이라 적응이 어렵다.

󰋯 한국은 냉장고 문화가 발달해서 밥과 국을 따로 하고 반찬도 여러 가지 하고 많은 양을 하는데, 베트남은 음식이 쉽게 상하니깐 조금씩 간단하게 식사 때마다 식단을 준비한다.

 

 

 

 

(4) 기타

베트남의 언어는 6성어를 사용하며, 13세기 이전에는 한자를 사용했으며 한자를 인용하여 만든 ’(Nom)도 일부에서 사용하였다. 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프랑스의 신부 알렉산더에 의해 개발된 쿠옥 누’(Quok Ngu)가 현재까지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베트남어는 영어와 어순 나열이 비슷하며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어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의 인구는 전체인구의 89%가 베트남인이고 약 400만 명의 소수민족이 있다. 대부분 논농사에 종사하고 있으며 소수민족은 유목이나 화전 경작에 종사한다. 불교가 70%로 가장 많아 전국적으로 사찰이 많으며 카톨릭이 12%, 개신교가 1%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 부모공경이나 높은 교육열을 보인다.

베트남 전쟁(1946-1975) 이후 1976년 북베트남에 의해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통일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 개발정책을 시행하여 서구 세계에 문호를 개방하였다.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매우 활발하며 정부 요직에 많이 진출해 있으며 사회주의 영향과 직장생활을 하는 여성이 많아 유아시설과 제도가 잘되어 있는 편이다.

베트남에서 숫자‘9’는 행운의 수이며, ‘13’은 액운의 수라고 여기며, 숫자의 합이 5가되거나 15, 25와 같이 5로 끝나는 수는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베트남인들은 스스로 근면, 성실, 인내, 친절, 용감성 등의 국민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랜 세월 동안의 끊임없는 외침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국민으로 자신들을 표현하고자 하며, 무엇보다 외세에 굴복하지 않은 역사를 지닌 나라라는 자부심이 매우 강하다.

 

서울 강남구 논현1동 128-1 부국빌딩 303호 (135-823)

Copyright ⓒ 2002 생활개혁실천협의회 All rights reserved.